한국 수출과 수입의 GNI 대비 비율, 1877-2015

  • 발행일 : 2018-01-03
  • 저자 : 김낙년
  • 연번 : G2018-01
  • 2018.01.03
  • 조회수 : 3,331
  • (사단)낙성대경제연구소

                       <그래프> 한국 수출과 수입의 GNI 대비 비율, 1877-2015

주: 1877-1910년의 GNI는 추계되지 않았지만, 1911년의 수치를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가정하여 연장한 것이다.
자료: 김낙년, 박기주, 박이택, 차명수 편, 『한국의 장기통계』(도서출판 해남, 2018), Chapter N 국민소득, 표 N2, N50, N65; Chapter V 대외무역과 환율, 표 V144, V147.


이 그래프는 1877년 이후 138년간 수출과 수입의 규모를 GNI 대비 비율로 제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수출 또는 수입 의존도가 개항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해방 전에 30%로까지 높아졌고, 해방 후 정치적 격변으로 무역이 붕괴되다시피 한 후 다시 급속히 높아져 40% 전후의 수준으로까지 높아졌다. 그림에는 북한의 수치도 제시하였는데, 현재에도 식민지기 초기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무역의존도가 높은 것은 소규모 개방체제이면서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으로 특화하였기 때문이지만, 이 비율이 빠르게 상승한 것이 주목된다. 수출을 담당하는 주력 품목이 시기에 따라 교체되어 왔는데, 그 배후에 산업구조가 지속적으로 고도화되어 왔음을 반영한다.
개항기에는 쌀이나 콩과 같은 농산물과 쇠가죽과 같은 원재료를 수출하고, 면직물을 비롯한 공산품을 수입하는 구조였다. 식민지기에 들어와서도 그 구조는 지속되었지만, 기계 등의 수입과 공산품의 수출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1930년대에 본격화된 식민지 공업화를 반영하고 있다. 해방 후 무역구성의 일시적인 후퇴가 나타났지만, 1960-70년대에는 직물 의류 등의 재료별 제품이 그 후에는 전기기계, 선박, 차량 등의 중화학공업 제품이 수출을 주도하였다. 수입에서는 자본형성에 투입되는 기계류와 석유와 원재료 중심의 구조가 지속되어 왔다.


자료: 『한국의 장기통계』, Chapter N. 국민소득, 표 N50, 60

(통계 자료의 엑셀 표를 확인하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