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 프로젝트는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장기 경제통계를 수집, 정리, 추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술진흥재단(현재 한국연구재단)의 토대기초 연구지원사업(2002-2005년은 「한국 장기경제통계의 수집, 정리 및 추계: 18-20세기 인구, 가격, 산출, 소득 통계를 중심으로」, 2007-2009년은 「해방 전후 통계 공백기(1940-60) 경제통계의 정비, 추계 및 연결」)의 연구비 지원을 받았다.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연구소의 계속 사업으로서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 프로젝트는 대상 시기에 따라 통계자료의 상황이 크게 다르며, 그에 따라 장기통계를 정비하는 과제와 접근방법이 달라지지 않을 수 없다. 이하 시기별로 자료의 상황과 과제,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연구성과를 간단히 소개한다.
<조선후기>
첫째, 조선후기의 통계를 정비하는 과제이다. 이 시기는 근대적인 통계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용 가능한 통계는 매우 한정되어 있다. 물론 당시 정부의 조세 기반이라 할 수 있는 戶와 토지에 대해서는 전국 수준의 통계가 파악되어 있다. 다만 戶에는 비혈연적인 구성원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부터 전체 인구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토지의 파악 단위인 結數도 조세 부과의 단위이고, 그 등급도 당초의 규정과 크게 괴리되어 있어 그로부터 실제의 토지면적을 추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시기는 주로 미시적이고 단편적인 자료에 의존하여 당시의 실태에 접근하지 않을 수 없다. 지주나 상인 또는 서원 등이 남긴 기록(일기, 秋收記, 分財記 등)이나 족보 등이 그러한 사례이다. 이들 자료에는 물자를 판매하거나 구입한 가격, 이자율, 임금과 같은 가격 정보, 토지의 절대면적과 그로부터 얻은 소출이나 소작료와 같은 토지 생산성, 개별 가계의 출산과 사망에 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만들어진 통계는 자료가 우연히 남아 있었던 지역의 단편적인 정보이며, 이를 전국의 추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미시적인 자료의 발굴로 샘플 수를 늘려 그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조선후기 통계를 정비한 연구성과는 본 연구소가 주최한 학술 심포지엄(주제: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Ⅰ: 17~20세기」, 2003년 2월 28일, 구체적인 내용은 이 홈페이지의 게시판/ 연구소동향 항목을 참조)에서 발표되었으며, 그 결과는 이영훈 편,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2004년, 서울대출판부)로 발간되었다. 이 연구서의 목차를 통해 연구 참여자와 주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박희진, 차명수, 제1장 「조선후기와 일제시대의 인구변동」
박이택, 제2장 「서울의 숙련 및 미숙련 노동자의 임금, 1900-1909」
김재호, 박기주, 제3장 「농촌 이자율의 장기변동, 1742-1953」
차명수, 이헌창, 제4장 「우리나라 논 가격 및 생산성」
박기주, 제5장 「재화가격의 추이, 1701-1909」
이영훈, 박이택, 제6장 「농촌 미곡시장과 전국적 시장통합, 1713-1937」
박이택, 이영훈, 제7장 「18-19세기 미곡시장의 통합과 분열」
이우연, 제8장 「18-19세기 산림황폐화와 농업생산성」
이영훈, 제9장 「총설: 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과 과제」
<식민지기>
둘째, 식민지기의 통계를 정비하는 과제이다. 이 시기는 근대적 통계조사가 시작되어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조사(각 분야별 통계서와 종합 통계서)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일본에서 당시 시행되고 있는 통계조사의 기준과 방법을 조선을 포함한 식민지로 확대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당시 조선총독부가 지방 행정기관으로부터 『朝鮮總督府報告例』의 양식에 의거하여 정기적으로(매년, 분기, 매월 등) 각종 실태를 보고 받았으며, 이러한 행정보고를 정리하여 『朝鮮總督府統計年報』를 비롯한 각종 통계서를 발행하였다. 이러한 행정 통계 이외에도 國勢調査와 같이 별도의 조사기구를 만들어 전국통계를 조사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식민지기 통계는 비교적 풍부한 편이지만, 한계도 존재한다. 하나는 식민지기 초기에는 통계수집을 위한 행정체계가 정비될 때까지 조사 커버리지가 낮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또 하나는 당시의 통계는 국제기준에 맞추어 작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통계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식민지기 연구는 이 시기의 국민계정을 추계하는 작업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溝口敏行・梅村又次編『旧日本植民地経済統計』(1988년, 東洋経済新報社)와 같은 기존 추계가 있고, 그것이 국제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의 성과를 흡수하면서도,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추계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이고 精度가 높은 추계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성과는 본 연구소가 주최한 학술 심포지엄(주제: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Ⅱ: 식민지기의 GDP와 GDE」, 2004년 2월 27일, 구체적인 내용은 이 홈페이지의 게시판/ 연구소동향 항목을 참조)에서 발표되었는데, 선행 연구의 저자들인 溝口敏行(廣島經濟大學), 尾高煌之助(法政大學) 교수, 그리고 한국은행 국민소득팀의 전문가(鄭榮澤 당시 차장)가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성과는 김낙년 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2006년, 서울대출판부)로 발간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일본어로도 번역 출판 (金洛年編, 文浩一・金承美訳, 尾高煌之助・斎藤修訳文監修, 『植民地期朝鮮の国民経済計算 1910-1945』 (2008년, 東京大学出版会)되었다. 이 연구서의 목차를 통해 연구 참여자와 주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부 추계와 분석
김낙년, 제1장 「추계 작업의 개요」
박섭, 제2장 「농업」
이우연, 송경은 제3장 「임업 수산업」
박기주, 제4장 「광업 제조업」
박기주, 박이택, 제5장 「전기 가스 수도업 및 운수 창고 통신업」
박이택, 제6장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주익종, 제7장 「금융과 기타 서비스업」
김재호, 제8장 「정부부문」
주익종, 제9장 「민간소비지출의 추계」
박이택, 김낙년, 제10장 「자본형성」
堀和生, 김낙년, 박기주, 제11장 「무역과 대외수지」
김낙년, 제12장 「국민계정」
차명수, 제13장 「경제성장, 소득분배, 구조변화」
제2부 통계
통계표 Ⅰ 「국민계정 통계」
통계표 Ⅱ 「주요 통계」
그리고 이 연구서의 제2부에 수록된 통계는 본 홈페이지의 Statistical Data/ 한국의 경제성장 항목에서 엑셀 파일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해방 후>
셋째, 1940년대부터 해방 후 국제기준의 통계가 정비될 때까지의 통계를 정비하는 과제이다. 식민지기 말기에는 전시의 규제로 인하여 통계의 공표가 제한을 받았다. 해방 후에는 종래의 통계서 발행이 중단된 경우가 많았고, 그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서의 발간이 늦어졌다. 예컨대 『대한민국 통계연감』이 발간되기 시작한 것은 1952년이며, 수록된 통계의 분량도 많이 줄었다. 그 사이의 기간에는 종합적인 통계서는 없지만, 각 분야별로 단편적인 통계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통계는 아직 통계작성의 국제기준이 적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통계를 수집하여 정리하는 한편, 전후한 시기의 통계와 일관되게 연결하여 장기계열을 만드는 것이 과제가 된다. 그리고 해방 전의 통계는 조선 전체를 포괄하지만, 해방 후의 통계는 남한에 한정되므로 두 시기 통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해방 전 통계를 도별(나아가 남북)로 분할하는 것도 과제가 된다.
이 시기는 자료상의 제약이 커서 그 이전이나 이후 시기와 같은 수준으로 통계의 정비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또 분야에 따른 편차가 크다. 현재 연구소는 이 시기를 포함하여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장기 경제통계를 정비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연구성과의 일부는 연구소 주최의 학술 심포지엄(주제: 「한국의 역사통계: 맬더스 시대로부터 근대적 경제성장으로」, 2009년 8월 21일)으로 발표되었다. 심포지엄의 발표 주제와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박희진, 「한국의 인구변천」
이우연, 김두얼, 「18-20세기 한국의 생활수준」
차명수, 「18, 19세기 우리나라의 요소가격과 인구변동」
이영훈, 「17세기후반~20세기전반 수도작 생산성의 장기추이」
박기주, 류상윤, 「광공업 부문의 성장과 변화: 1940-50년대를 중심으로」
박이택, 「서비스업의 성장과 구조변화」